확대 l 축소

김소양 시의원,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성적표는 낙제점..10년간 2,074억원 투자”

- 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 보고서, “마을공동체사업의 공동체성 회복 효과 의문”..‘(사)마을’이 맡은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9년간 인건비 246.6% 증가..5년간 조성에만 636억원 투입된 마을활력소는 관리 부실로 방치
서울시가 2012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2,074억원을 투입한 마을공동체사업이 막대한 예산 투입에 비해 그 효과가 매우 적다는 지적이 시의회사무처로부터 나왔다.    

서울시의회 예산정책담당관이 발간한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서울시민 대상 인식조사 결과 나는 우리동네 이웃을 신뢰하는 편이다라고 대답한 시민은 10명 중 4명에 못 미치는 38.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지난 2017년 일반시민과 마을공동체사업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이웃신뢰도를 조사한 결과인 59.5% 보다 하락한 수치이다.    

보고서는 공동체 회복에 마을공동체사업이 얼마나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는지 의문이라며, “성과지표 및 성과측정 시스템 구축을 통해 예산 투입 대비 실질적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성과가 미비한 사업에 예산이 무분별하게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명한 성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서울시는 2012년부터 마을공동체사업 예산을 매년 늘려오다 2016년부터는 연간 300억 이상의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올해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관련 예산은 30978백만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마을공동체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의 9년간 인건비는 246.6% 증가한 반면, 사업 예산은 9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건비가 사업예산에 비해 2.7배  가량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의회 김소양 의원은 센터의 인건비가 매년 증가한 것은 박원순 전 시장이 이 사업의 중간지원조직 확장에 치중한 결과이다, “시 센터뿐만 아니라 각 자치구 중간지원조직의 인건비 총액이 매년 40여억원임을 고려하면 이 사업의 목적이 어디에 있었는지 헷갈릴 정도라고 꼬집었다.    

이번 시의회사무처 보고서는 또 자치구별로 시행된 세부사업과 공간 조성사업에 대해서도 예산상 무분별한 집행과 관리 소홀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보고서는 자치구 공모사업인 마을생태계 조성사업의 경우 일부 주민의 일회성 친목도모 성격의 모임에 예산과 행정력을 동원하여 지원하는 것이 마을생태계 조성을 위한 올바른 방향인가에 대한 충분한 점검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한, 공간 조성 사업인 마을활력소 지원사업의 경우 양적 확대에 치중한 나머지 2015년부터 현재까지 636억원이 투입되었지만, 서울시가 조성 이후 운영실태 등에 관한 관리가 전무하였다고 꼬집었다.    

서울시가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 하겠다며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서울 전역에 설치한 마을활력소 대부분은 현재 코로나19 상황 등으로 인해  문이 닫혀있거나 운영이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소양 시의원은 지난 9년간 마을공동체사업은 운영인력과 공간 조성 등 인프라 확장에만 치중한 결과, 정작 일반시민들이 체감하는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꼬집었다.    

김 시의원은 이번 시의회사무처 보고서는 그 동안 막대한 시민의 혈세가 마을공동체사업 관계자들과 일부 참여자들을 위해 방만하게 쓰였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가 객관적인 평가와 철저한 감사를 통해 사업 실효성을 제고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마을공동체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는 2012년부터 ()마을이 3차례의 재위탁을 통해 9년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올해 8월 위탁기간 만료에 따른 신규 위탁 공모 절차를 6월부터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