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서울시 5가구 중 1가구 '반려동물과 산다'

- 2018 서울서베이, 1천 명 온라인설문 토대로 반려동물?유기동물 시민인식 조사·분석..반려동물 가구 20% 도달… 최근 5년새 반려묘 비율 3.6%p↑, 반려견은 4.0%p↓..반려견 “혼자두고 외출”(63%), 반려묘 “배설물, 털 등 관리”(63.5%) 가장 어려워

서울시 조사 결과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구가 18.8%(2014)에서 20.0%(2018)로 증가 서울에 사는 5가구 중 1가구에 이르고 있다.

반려동물의 종류는 반려견’(84.9%)이 대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반려묘와 함께 사는 가구 비율도 최근 5년 새 3.6%p 증가(8.6%12.2%)했으며, 같은 기간 반려견가구 비율은 4.0%p 감소(88.9%84.9%)했다.

반려동물을 기를 때 어려운 점은 반려동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다. 반려견은 혼자두고 외출이 어렵다”(63%), 반려묘는 배설물, 털 등의 관리”(63.5%)를 각각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 반려동물을 기른 경험이 있는 사람의 약 1/3(31.6%), 경험이 없는 사람의 12.7%가 향후 반려동물을 추가로 또는 새롭게 기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10명 중 9(90.7%)은 유기동물 발생의 가장 큰 책임이 무책임한 소유자에게 있다고 응답했다. 유기견(36.2%)에 비해 유기묘(47.2%)를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가 서울시민의 반려동물의 보유실태와 생활환경, 유기동물에 대한 인식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분석을 실시, 그 결과를 이와 같이 발표했다. 2018년 서울 서베이 자료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 토대로 이뤄졌다.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새로운 가구 형태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고, 반려동물을 또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서울시민의 생각을 파악하기 위한 취지라고 배경을 밝혔다.

서울시 반려동물 가구는 최근 5년 간 매년 0.24%p씩 증가하여 '14(18.8%)'15(19.4%)'16(19.0%)'17(19.4%)'18(20.0%)로 반려동물은 대부분 반려견()이었지만, 최근 증가율은 반려견보다 반려묘(고양이)가 높았다.

서울시 가구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은 반려견(84.9%), 반려묘(12.2%), 반려견+반려묘(2.3%), 기타(0.6%) 순이었다.

반려견을 기르는 가구 비율은 2014년보다 4.0%p 감소했으며 ('1488.9% '1884.9%), 반려묘를 기르는 가구 비율은 3.6%p('148.6% '1812.2%) 증가했다.

가구 특성별로 키우는 반려동물 유형을 보면 반려견은 주택형태, 입주형태, 가구원수에 관계없이 유사한 비율을 보인 반면, 반려묘는 월세/기타”, “1인 가구에서 기르는 비율이 높았다.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거나 키운 경험이 있는지 물은 결과 69.2%있다고 응답했다. 반려동물을 키우게 된 계기는 동물을 좋아해서62.0%로 가장 높았고, “가족 구성원이 원해서”(44.9%), “또 다른 즐거움을 위해서”(28.9%)가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을 기를 때 어려운 점으로는 혼자두고 외출이 어렵다55.1%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배설물, 털 등의 관리가 어렵다”(54.6%), “양육 및 관리 비용 문제”(31.4%)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한 번도 기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시민을 대상으로 그 이유 물은 결과 관리가 힘들어서60.7%로 가장 높았다. “양육할 자신이 없어서”(41.9%), “공동주택 거주”(25.3%)가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을 추가로(또는 새롭게) 기를지에 대해 물은 결과 반려동물 경험자의 경우 31.6%가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 미경험자의 경우 12.7%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주변지역에 있는 유기동물에 대한 인식도 조사했다. 유기동물 발생의 가장 큰 책임은 무책임한 소유자”(90.7%)에게 있다고 보았고, 유기견()보다 유기묘(고양이)를 문제로 인식하는 시민이 더 많았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조사분석결과 같이 시민들의 실생활과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선정하고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적객관적 통계분석 결과를 제공 할 예정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조사분석결과를 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서울시 또는 공공차원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에 대한 지원책 개발과 인프라 확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