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서울시, 봄철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 예방약’ 살포…만지지 마세요

- 4.1.~5.15. 서울둘레길 및 너구리 출몰 공원 등에 ‘광견병 미끼 예방약’ 살포....야생동물이 먹으면 잇몸 점막 통해 면역 형성, 서울시 2006년 이후 비발생 유지...사람 체취 묻으면 야생동물이 먹지 않을 수 있어 만지지 않도록 유의...반려동물에게 위험하지 않으나, 정확한 예방효과 위해 동물병원에서 백신접종 필요


서울시는 41일부터 515일까지 너구리 등 야생동물을 통해 전파되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광견병 미끼 예방약4만 개를 서울둘레길 및 너구리 출몰 공원 등에 살포한다고 밝혔다.  

광견병 미끼 예방약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먹이 안에 예방 백신을 넣은 것으로, 동물이 먹게 되면 잇몸 점막을 통해 백신이 흡수되어 면역을 형성시킨다.  

서울시는 2006년부터 매년 봄, 가을에 야생동물용 광견병 미끼 백신을 살포하고 있으며, 살포 이후 현재까지 서울에서 야생동물로 인한 광견병이 발생한 사례는 없다.  

미끼예방약은 서울시 내부로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50~100m 간격으로 서울 둘레길을 따라 지점당 15~20개씩 총 157km에 차단띠 형태로 살포될 예정이며, 주요 살포지점은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산(북한산도봉산수락산불암산관악산용마산관악산우면산 등), 하천(안양천우이천청계천 등) 및 너구리가 자주 출몰하여 민원이 많은 근린공원 등이다.

미끼예방약은 약 2~3cm의 네모난 모양으로, 미끼 예방약이 살포된 곳에는 현수막과 경고문을 부착해서 시민들이 만지지 않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미끼 예방약을 사람이 만지면 체취가 약에 묻게 되어 야생동물이 먹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섭취되지 않은 미끼예방약은 살포 약 30일 후부터 수거된다.  

▲살포지역

사용하는 미끼 예방약은 개, 고양이를 포함한 50종 이상의 동물에서 안전한 것으로 입증이 된 제품으로 반려동물이 먹었더라도 위험하지는 않으나, ,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정확한 광견병 예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용 광견병 예방백신을 접종받아야 한다.  

반려동물과 산행을 할 때는 반드시 목줄을 착용시키고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반려동물이 광견병 의심 동물과 접촉했을 때에는 방역당국에 신고하고 동물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한다.  

광견병에 걸린 동물의 증상은 쉽게 흥분하거나 과민해져 공격 성향을 보이며 거품 침을 흘리고, 심할 경우 의식불명 후 폐사할 수 있다.  

사람이 야생동물 또는 광견병 의심 동물에 물렸을 경우에는, 바로 상처 부위를 비눗물로 15분 이상 씻어내고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매년 봄·가을 미끼예방약 살포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인 광견병이 서울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봄철, 산행이나 산책 시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하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