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아리수, 탄소 배출 시중판매 생수보다 639배↓…환경성적표지 인증

- 서울시, 6개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아리수에 대해 ‘환경성적표지’ 인증 취득...아리수의 탄소배출량은 먹는샘물보다 639배, 정수기보다 393배 낮아...국내 최초로 수돗물 취수부터 정수처리 및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체 과정에 대해 적용....서울시, “환경친화적인 아리수의 우수성을 알리고 수돗물 먹는 문화 확산할 것”
서울시가 지난달 26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6개 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수돗물 아리수에 대해 환경성적표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아리수 1m3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6개 정수센터 평균 0.240kgCO2/m3, 이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먹는샘물보다 639(153kgCO2/m3), 정수기보다 393(94.2kgCO2/m3)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개 정수센터 각각의 탄소 배출량 심사 결과는 광암 0.182kgCO2/m3, 암사 0.268kgCO2/m3, 구의 0.236kgCO2/m3, 뚝도 0.268kgCO2/m3, 영등포 0.249kgCO2/m3, 강북 0.235kgCO2/m3이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의 신규 인증값은 0.235kgCO2/m32011년 인증 결과인 0.169kgCO2/m3과 비교해 0.066kgCO2/m3 높다.  

서울시는 이번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정수센터에서 수돗물을 생산해 각 가정에 수돗물이 공급되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포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아리수 1m3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발자국은 6개 정수센터 평균 0.00152kgSb/m3으로, 먹는 샘물보다 4473(6.80kgSb/m3) 낮았고, 물발자국은 0.592m3H2O/m3으로 먹는 샘물보다 8(5.05m3H2O/m3) 낮아 탄소 배출량뿐 아니라 다른 환경영향 범주에서도 수돗물의 환경적 우수성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2011년 강북아리수정수센터에서 생산한 아리수에 대해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취득한 바 있다. 이번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6개 정수센터 전체로 확대했으며 고도정수처리 도입 등으로 인한 수돗물 생산 공정 변화를 반영해 최신 인증을 추진했다.  

환경성적표지는 환경부가 환경성 제고를 위해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채취, 생산, 수송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경성 정보를 계량적으로 표시하는 제도이다. 환경성적표지는 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오존층영향, 산성비, 부영양화, 광화학스모그, 자원발자국 7가지 영향범주로 정확히 산정해 부여한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통해 아리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것이 환경에 이롭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라면서 아리수의 환경적 가치를 많은 시민이 공감하고, 일상 속에서 아리수를 먹는 물로 적극 이용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