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가 외국인 주민과 내국인이 어우러지는 ‘상생 도시’로 나아간다. 구는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2025년 외국인주민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실행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구는 전체 인구의 8.8%가 외국인으로, 서울시 자치구 중 외국인 비율이 가장 높다. 이에 구는 지난 1월 외국인지원팀을 신설하고 체계적인 외국인 주민 지원에 나섰다.
종합계획은 ‘내‧외국인이 함께 만드는 상생 문화의 내편중구’라는 비전 아래, △소통 및 구정 홍보 강화 △사회‧문화 활동 참여 증대 △안정적 정착 및 성장 지원이라는 세 가지 정책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신규사업 18개를 포함해 총 30개의 세부사업이 담겼다.
구청 부서는 정책 사업에 집중하고, 동 주민센터는 문화활동 위주의 교류를 맡아 유기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외국인 주민의 정보 격차 해소와 정책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소통 체계가 구축된다. △외국인 인적자원 발굴 △외국인 지원 협의체 운영 △글로벌 서포터즈 운영 △현장 소통 간담회 △구정 홍보 문자서비스 제공 △외국인 유공자 표창 수여 △동별 다문화가족 커뮤니티 운영 △외국인 주민 명예통장 제도 등을 통해 외국인 주민이 정책에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탄탄히 다진다.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문화 활동도 추진된다. △다문화가족 행복한 마당 축제 △명동아트브리즈 K-POP댄스 교실 확대 운영 △정동야행 외국어 버전 리플릿배포 △중구관광안내지도 우편 발송 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한다. 동 주민센터에서는 외국인 대상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역주민과 유대감을 강화한다.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과 자립을 위한 생활 밀착형 지원도 강화된다. △생활안내 책자 제작 및 배포 △외국인 아동 재원 어린이집 운영비 지원 △중구가족센터를 통한 다문화 서비스 제공 △외국인 유학생 및 외국인 주민과 함께하는 환경 캠페인 등을 통해 일상 적응을 돕는다. 또한 △대사증후군 관리 등 건강 프로그램 △미등록 외국인을 포함한 HIV 감염인 진료비 지원 △생활안전 보험 △자전거 보험 등 건강과 안전도 챙긴다. 아울러 △일자리 연계 서비스를 통해 경제적 자립도 지원한다.
구는 외국인지원팀을 컨트롤타워로 해, 외국인 관련 기관과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데이터 통합관리, 자원 연계 등을 통해 정책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