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량 시의원(더불어민주당, 도봉4)은 13일 서울시설공단(이사장 이지윤) 행정사무감사에서 화장로 확대 및 화장공급 증대를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송 시의원은 “서울시설공단이 운영하는 화장시설인 서울추모공원(서울시 원지동)과 서울시립승화원(경기도 고양시)만으로 서울시민의 화장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타 지역으로 시신을 옮겨 화장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반면 서울시는 별다른 대책 방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며,
“서울추모공원의 1일 화장신청 횟수는 50건 이상인 반면 1일 최대 화장가능 횟수는 60건이고, 서울시립승화원은 1일 화장신청 평균횟수는 101건 이상인 반면 1일 최대 화장가능 횟수는 116건”이라며, “이렇듯 시립 화장시설의 과부하 상태로 상당수의 서울시민이 예약에 어려움을 느껴 타 지역으로 시신을 옮겨 화장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법상 화장시설은 지역주민 편의시설로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게 돼있다. 이에 따라 타 지역 주민이 이용할 경우 비용을 높이고 이용 시간도 제한된다. 서울시민의 경우,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추모공원과 서울시립승화원은 12만원에 이용할 수 있지만 경기도, 인천광역시 소재 화장시설에서는 100만원을 지불하게 돼있다. 여기에 원거리 운구 비용까지 포함하면 경제적 부담이 더욱 커진다.
서울시민의 화장률은 1990년 22.7%로 최저점을 지난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1년 53.2%로 과반수를 넘겼으며, 지난해 84.6%에 달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0만명이 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장사시설의 공급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보건복지부의 ‘장사시설 수급 종합 계획안’에 따르면 사망자의 약 40%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집중돼 서울은 당장 2020년부터 화장시설 부족이 예상된다며 ‘우선 확충’ 지역으로 꼽았다.
이렇듯 서울시의 고령화 속도 등을 감안하면 서울추모공원 규모의 화장시설이 필요하지만 서울시의 장사시설 확충 등의 대책 마련은 없는 실정이다.
송아량 시의원은 “서울추모공원은 완공까지 10년이 걸렸고 원래 20기로 예정됐던 화장로도 11기로 줄였다”면서 “장사시설에 대한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건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사시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주민들과 논의를 통해 적극 지원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송아량 의원은 “장사시설 부족으로 시민들이 물리적, 경제적 부담을 겪고 있음에도 서울시는 화장시설 확충 등의 대책 마련은 없다”고 지적하면서 “타시도민의 서울시 장사시설 이용 및 서울시민의 타시도 시설 이용을 고려하여 장사시설의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장사시설 수급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밝혔다.
<끝>
-
글쓴날 : [2018-11-14 18:16:34.0]
Copyrights ⓒ 동대문 이슈 & www.ddmissu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